백두대간1

신의터재 - 큰재

호 산 2010. 9. 20. 09:47

 

2010년 9월 19일 09:20 - 16:50 (당일)

신의터재-지기재-개머리재-백학산-개터재-회룡재-큰재.

산행거리 21Km

날씨 - 맑고 바람없이 무더움.

 

 

 

 

 

 

          개념도

 

 

 

 

 

 

 

신의터재에서의 아침햇살은 따갑다.

 

오솔길같은 대간길.

과수원사이로 난 대간길.

상주의 대표격인 백학산.

회룡목장가까이 오니 소똥냄새가 진동을 한다.

 

그리고  큰재까지 쉬임없이 걸어 간다.

 

 

 

 

 

 

신의터재.

 

 

 

신의터재(280m)

임진왜란 이전에는 신은현(新恩峴)이라고 불렸던 이 고개는 임진왜란 때 최초의 의병장이었던 김준신이 의병을 모아 큰 공을 세우고 임진년 4월 25일 순절한 후부터 신의터재로 불렸다. 일제 강점기 때는 민족정기를 말살한다고 '어산재'로 개명되었으나 광복 50주년을 맞아 옛 이름을 되찾은 사연 많은 고개이다.


 

이정목. 

 

 

 

 

지기재

 

 

지기재(260m)

 동네 뒷산에 도둑이 많이 나왔다 하여 한 때 적기(賊起)재라고도 불렸던 곳이다.

 

 

 

 

 

 

개머리재.

 

 

개머리재(290m)

 이 지역의 모양이 개머리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담배밭과 포도밭, 사과밭 등이 있고 백두대간은 허리를 낮추고 낮추어 밭과 밭 사이를 지나고 있다.

 

 

옛날 나 어릴적의 가을 논의 모습 같습니다.

 

 

 

 

백학산 

 

 

백학산(白鶴山)

산을 하얗게 덮을 정도로 백학이 내려와 앉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제는 이름으로만 남겨져 백학은 찾아볼 수 없다.

 

 

 

 

 

 

 

큰재 - 폐교가 있던 자리는  공사중이다.

 

큰재(320m)

 금강과 낙동강의 분수령임을 알리는 입간판  있다. 상주시 공성면의 3번 국도와 영동군 모동면의 977번 지방도로를 연결하는 920번 지방도로가 백두대간의 주능선을 가로지르는 곳이다.



 

다음산행의 들머리 - 국수봉을 올라가는 입구.

 

 

 

사과가 탐스럽게 익어가는 가을....

 

 

 가을이 다가 오는것 같습니다.


 

 

 

 

 

 

'백두대간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빼재 (신풍령) - 육십령  (0) 2010.11.07
미시령 - 진부령.  (0) 2010.10.04
비재 - 신의터재  (0) 2010.09.07
늘재 -비재 (속리산)  (0) 2010.08.26
늘재 - 버리미기재  (0) 2010.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