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자료실

산행시 호흡법

호 산 2007. 12. 23. 07:38
산행 중 겪는 첫 번째 고통은
더 이상 움직이고 싶지 않을 정도로 숨이 차오르는 것입니다.
이것은 운동량에 비해 산소와 혈액의 공급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죠.
 
산길을 걷기 시작하면 서서히 심장박동과 호흡이 빨라지게 되는데,
운동량이 자신의 심폐 능력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더 이상 숨을 쉴 수 없을 정도로
숨이 가빠지고 심장은 마치 터질 것 같아집니다.
 
이렇게 신체에서 요구하는 산소량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면
산소 부족상태에 이르게 되는데 이런 상태를 사점(死點)이라고 하며,
더 이상 운동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사점에 도달하는 운동량은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산행 중 한번씩은 겪게 됩니다.
사점에 빨리 도달하는 것보다 서서히 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점에 가까워진다고 느껴지면 걷는 속도를 늦추고 심호흡을 충분히하여
신체가 사점을 잘 극복하도록 해야 합니다.
 
이때 너무 오랫동안 휴식을 취하면 다시 사점을 겪게 되죠.
이렇게 한 번 사점을 잘 극복하여 페이스를 조절,
신체가 잘 적응되면 걸음이 한결 가벼워집니다.
 
흔히 젊은 남자의 경우 의욕이 앞서 초반에 따른 속도로 산행을 하기 때문에
금세 사점에 이르게 되고, 페이스 조절을 못하여 무 산소 운동 상태가 지속되면서
녹초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또한 여자들은 사점을 느끼게 되면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자포자기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신체에는 더 많은 운동을 계속할 수 있는 능력이
충분히 남아 있다는 것도 알아야 하죠.
 
보통 초보자들은 "2번 코로 들이쉬고, 2번 입으로 내쉬고"
"코로 호흡하는 습관을 들여라" 라는 것을 산행 중 호흡법의 정석으로 알고 있습니다.
 
입이 아닌 코로 호흡을 하면 먼지나 균 같은 것을 거르게 되고
차가운 공기를 덥게 할 수 있는 좋은 점이 있지만,
산행 중에 필요로 하는 산소량을 코의 호흡만으로는 충분히 공급할 수 없습니다.
 
안정 시 1분 동안 마시는 공기의 양은 10리터 정도이지만,
산행 중에는 1분에 약 150리터까지도 공기를 마셔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1분당 코로 들이마실 수 있는 공기의 최대량은 57리터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숨이 차오르는데 코로만 숨을 쉬는 것을 고집하는 것은 미련한 행동이죠.
 
코와 입으로 필요한 만큼 충분한 공기를 들여 마시는 것이 지치지 않는 요령입니다.
 
혈액 중에 산소결핍이 발생하지 않도록 평지를 걸을 때 심호흡을 의도적으로 하여
오르막길에서 부족 된 산소를 보충하고 다음 오르막길에 대비하도록 합니다

'산행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산행시 유의사항  (0) 2007.12.25
건강한 등산요령.  (0) 2007.12.25
백두대간종주시 실전요령.  (0) 2007.12.23
등산보행 요령.  (0) 2007.12.23
영남알프스의 산줄기들..  (0) 2007.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