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기의 효능
황기
황기는 콩과식물로써 황기 뿌리의 겉껍질을 벗긴 것을 가용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줄기 녹자색을 때며 초장은 100센티미터 정도 자라고 가지가 많은 약초이다. 황기의 잎은 홀수의 5회 깃모형 겹잎으로 줄기에 어긋나고 작은 잎 조각은 3번째의 복엽이 타원형으로 가장 크며,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황기의 꽃은 7~8월에 줄기의 윗부분 잎겨드랑이에서 꽃대가 올라와 총상화서로 나비 모양의 담황색 꽃이 피며, 꼬투리 속에 열매가 맺힌다. 꼬투리는 처음에는 담록색을 때다가 자록색으로 변한 후 완숙될때는 회갈색으로 변한다. 그 크기는 3~5센티미터로 그속에 보통 8~10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황기의 종자는 흑갈색으로 편장구형이며 보통 100알의 무게가 3.5g 정도 된다. 황기의 뿌리는 직근성으로 곧게 뻗는 것이 상품으로 치며, 뿌리 가지가 많으면 품질이 낮아져 상품성이 떨어지며, 외피는 담황갈색이나 잘라보면 둘레는 유백색이고 속살은 담황백색을 띤다.
1. 과명 : 콩과
2. 영명 : Astragalus membranceus Bunge
3. 한명 : 黃芪(황기)
4. 산지 : 한국, 중국
5. 용도 : 뿌리 (약용, 식용)
황기에 관한 관련서적
1. 약용작물 –재배기술과 유통전략- (김홍은외 3인 저, 농민신문사, 2000)
2. 내체질에 약이 되는 음식 222가지 (김달래 저, 중앙생활사, 2005)
3. 한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신동원 외 2인저, 들녘, 1999)
황기의 효능 및 효과
1. 황기의 효능
1) 관상혈관 및 심혈관 확장
2) 강장, 이뇨,강압작용,
3) 피부 혈액순환과 영양상태 개선
4) 괴사세포의 활력 회복
5) 만성궤양 치료
6) 간기능 보호
7) 글리코겐 감소 방지
8) 단백뇨 제거
9) 포도상구균, 폐렴쌍구균, 이질간균, 디프테리아균에 대한 항균작용
10) 활성산소인 프리레디칼을 제거하여 피부암 예방
11) 피부 청결미 저항력 증대
12) 자한(병적으로 땀을 지나치게 흘리는 증상) 치료
13) 도한(몸이 허약하여 잠자면서 나는 식은땀) 치료
14) 부종(몸이 붓는 증상) 치료
15) 내상조권(기력이 쇠하여 생기는 병) 치료
16) 비허설사(소화가 되지 않아 몸이 쇠약해지면서 생기는 설사병) 치료
황기의 복용방법
1. 종기, 피부병 – 날것을 그대로 사용한다.
2. 폐가 허한데 – 꿀물을 축여 살짝 뽁아서 사용한다.
3. 양기가 약할 때 – 소금물에 축여 볶아서 사용한다.
궁합
같이 곁드리면 좋은 약초 : 토종닭
문헌에서 말하는 황기
1.동의보감에서 말하는 황기
황기(단너삼)은 벌판과 들에서 자라며, 뿌리를 캐어 그늘에 말려 약으로 쓴다. 솜처럼
연하면서 화살같이 생긴 것이 좋다. 황기는 상초, 중초, 하초, 몸겉과 안등에 고루 작용하는
좋은 약이다. 황기는 기가 허하여 나는 땀과 저절로 나는 땀을 멎게 하는데, 이는 약이 피부
표면에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 각혈을 멈추고 비위를 편안하게 하는데, 이는 약이 비위에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 상한때 척맥이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하고, 신장의 기운을 돕는데,
이는 약이 속을 치료하는데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황기는 상,중,하, 속과겉, 상초의
약이 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황기는 허손증으로 몸이 몹시 여윈데 좋다. 기를 돕고
살찌게 하며, 추웠다 열이 나는 증상을 멎게 하고 신장이 약해서 귀가 먹은 것을 치료한다.
옹저를 없애고, 오래된 헌데에서 고름을 빨아내며, 아픈 것을 멎게 한다. 또한 어린이의 온갖
병과 붕루, 대하 등 여러 부인병을 치료한다. 황기의 줄기와 잎은 갈증, 힘줄이 오그라드는
증상, 옹종, 저창에 쓴다.
황기를 이용한 먹거리
황기백숙탕, 황기차, 황기주
황기의효능 상품(上品)으로 분류된다. 몸을 가볍게 하여 기운을 보강하여 한약재를 말한다.
지금은 통속적으로 『황기』라고 하며, 옛날부터 황기를 인삼 다음의 기운(氣運)을 보강하는 약으로 쓰여져 오고 있다.
한국·일본·만주·중국 북동부·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흔히약초로서 재배하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한약재의 황기라 하며, 강장·지한(止汗)·이뇨(利尿)·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피로권태·기혈허탈(氣血虛脫)·탈항(脫肛)·자궁탈·내장하수·식은땀·말초신경 등에 처방한다.
황 기 의 효 능
황기의 효능은 중국 한나라 이전부터 임상에 널리 사용됐는데, 그 당시 기록으로 알려져 있는 ’오십이병방’에는 황기에 작약, 건강 등을 배합해 뼈나 살이 썩는 병을 치료한다고 나와 있다. 또한 한약재에 대해 소개해놓은 최초의 문헌인 ’신농본초경’에도 황기를 상품의 약으로 분류해 기록해놓고 있다.
’신농본초경’에 따르면 황기는 독이 없기 때문에 아무리 많이, 또 오래 먹어도 사람을 상하게 하지 않고, 오히려 먹을수록 몸이 가벼워지면서 기운이 생기며, 늙지 않고 오래 살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현재 한의학에서 황기는 그 약성이 감온하며, 주로 비경과 폐경에 들어가 약효를 나타낸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를 쉽게 정리하자면 소화기·호흡기 기능의 허약 증상을 개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밖에도 최근의 약리 연구에서 황기는 강장 작용을 한다고 밝혀졌으며, 황기를 달인 물이 생쥐의 면역 기능을 증강시켰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태아의 신장 세포를 시험관 내에서 실험한 결과, 생장 수명을 연장시키고 세포의 영양과 에너지 대사를 활성화하며, 면역 기능의 증강과 관련 있는 혈중의 IgM, IgE 및 cAMP를 현저하게 증가시켰다고도 한다.
♣ 정신안정효과
체질을 보강하고, 두뇌활동을 활발하게 하며 정신안정효과가 있음.
♣ 내장기능이 쇠퇴하여 아래로 처진 것을 위로 끌어 올리는 작용
- 위하수 : 위근육의 이완으로 일어남.
- 신하수 : 흔한 증상은 아니나 경과는 장기간임.
- 자궁하수 : 거의 다산으로 허약해진 신체가 회복되지 않아 자궁의 인대가 이완되어 일어남.
♣ 소화기관 개선
배당체 플라보노이드, 인, 알카로이드가 함유 몸의 신진대사가 원활 수분배출과 노폐물 배설이 잘 되도록 함
♣ 일반적 효능
1. 장기간 설사가 치료되지 않을 경우.
2. 월경과다, 자궁출혈 증세가 있을 경우.
3. 뇌졸중에 의한 반신마비나 만성 류머티성 관절통증을 치료하는 작용.
4. 체질이 허약하고 감기에 걸려서 다한, 이풍, 신피의 증상이 일어날 경우.
5. 평소 체질이 허약한 사람이 급성 열병으로 허한이 갑자기 증가할 경우.
6. 현저한 뇨량증가 및 나트륨 배설작용에 의한 이뇨, 소종의 효과가 있음.
7. 신체허약으로 발생한 창양종독의 치료에 사용.
“땀이 많은 증상” 을 치료하는 명약
■ 황기 이야기
『황기』는 약 2천년전 한약학의 가장 오래된 의서로 전해져 오는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상품이란 부작용이 전혀 없고 장기간 걸쳐 복용해도 좋으며, 불로장생 (不老長生)을 하게 하며,
이후 본초강목 (本草綱目)이라는 cord에서는 황기를 명명에 있어 황기를 원래 황기(黃耆)라고 하는데, 황(黃)은 황기의 색이 누렇다고는 것을, 기(耆)는 어른 또는 스승의 의미로 보약(補藥)의 우두머리를 뜻하는 것임을 해설하였다.
■ 황기의 효능
1. 몸이 쇠약하여 땀을 자주 흘리는 증상을 치료한다.
2. 목소리가 약하며 몸이 무거운 증상을 치료한다.
3. 만성 무력감 및 만성 피로를 치료한다.
4. 체표를 튼튼하게 하고 폐기운을 보강하여 감기를 예방한다.
5. 상처로 새살이 잘 재생이 안되는 증상을 치료한다.
6. 이뇨작용을 하여 몸이 붓거나 설사를 치료한다.
7. 머리가 맑지 않고 어지러운 증상을 치료한다.
8. 발기부전 등의 정력감퇴를 치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