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근피의 효능
"최고의 종창약이자 천연항생제 민간요법 약초로 유근피가 세간에 널리 알려진 것은 신약(神藥)의 저자 故 인산 김일훈 선생에 의해서다. 선생이 묘향산 깊은 산 속에서 기거할 때, 그 마을 사람들이 유별나게 건강하고 병없이 오래 사는 것을 보고 자세히 관찰한 결과 그들은 느릅나무 껍질과 그 뿌리의 껍질, 즉 유근피를 늘 먹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느릅나무 껍질을 벗겨 율무가루와 섞어 그것으로 떡도 만들어 먹고 옥수수 유근피는 각종 종창(腫脹)과 비위(脾胃)질환에 매우 좋은 약이다. 종창에 잘 듣는 약은 대개 암 치료약으로 쓸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암을 사전에 막을 수 있는 암 예방 효과를 갖는 좋은 약들이다. 유근피의 약성은 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利水道) 복수차는데 좋으며, 유근피는 비단 앞서 밝힌 각종 종창과 비위병, 궤양 외에 난치병 치료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약이다. 여러 가지 다른 질병에도 단방(單方) 혹은 혼합한 처방을 통해 쓸 수 있는 신비의 자연 생약재이다. 등창, 암종(癌腫)에의 활용 느릅나무 뿌리의 껍질, 즉 유근피의 약성과 그 적응증에 대해 설명했듯이 유근피는 각종 악성 종창과 장(腸)궤양, 기타 여러 질병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보여준다. 등창·후발종(後髮腫), 견창, 둔종, 음낭암 등 암종(癌腫)과 복창(腹脹), 순종(脣腫), 비종(脾腫), 부종(浮腫), 지종(肢腫) 등 제반 악종에 유근피를 날것으로 찧어서 붙이고, 유근피 말린 것의 가루를 상복(常服)하도록 한다 . 말린 유근피의 가루를 복용할 때 위기(胃氣)를 돕기 위해 가스명수에 유근피 가루 1숟갈씩 복용하되 부종의 경우 하루 10숟갈 이상씩 쓰는 것이 좋다. 부종은 이미 병뿌리가 깊이 내려 서둘러 약을 쓰지 않으면 약이 병의 진행을 따라 잡지 못하게 된다. 위·십이지장궤양, 소장·직장·대장궤양, 식도궤양과 위하수, 소화불량 등 아무튼 유근피의 작용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바로 극강한 거악생신(去惡生新)이다. 병든 부분을 소멸시키고 새로운 조직을 배양해내는 작용이 강하다는 뜻이다. 궤양약 ― 유피(楡皮)밤떡 토종밤에 유근피나 유피를 가미하여 떡 또는 국수를 눌러 오래도록 식용하면 온갖 병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미리 예방해주기까지 한다. 영양이 풍부하므로 우선 영양실조로부터 벗어날 수 있고 좋은 약이므로 질병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 날밤을 살짝 으깨어 2∼3일간 잘 말린 뒤 껍질을 벗기고 분말한 다음 유피 또는 유근피 가루 1.3 Kg : 밤가루 3.7 Kg의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한다. 위궤양으로 오는 비위(脾胃)의 모든 병과 각종 위장병, 폐결핵, 폐병, 신장염, 대장염, 요도염, 방광염,변비, 어혈, 신경통, 요통, 관절염, 고혈압, 저혈압, 독맥(督脈)경화 등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내며, 중풍, 암을 비롯한 각종 난치병과 노쇠예방에도 크게 기여한다 * 느릅나무 : 교목(喬木 : 줄기가 굳고 굵으며 높이 자라는 나무)의 한 종류. 키가 크게 자라며 꽃이 피면 담자색(淡紫色)을 띤다. 꽃이 지면 열매를 맺는다. 나무껍질은 갈색이며 납작하고 평평하며 찢어진 흔적같은 결이 있어 쉽게 벗겨낼 수 있다.느릅나무는 옛 중국과 한국에서 약으로 써왔다.
유근피의 효능
유근피(느릅나무 뿌리 껍질)는 각종 암처방과 종창·비위질환에 중요한 약재로 쓰인다. 특히 여자의 자궁과 유방질환 치료에는 주장약으로 쓰이며, 평소 음주 후에 속이 쓰리거나 염증을 잘 앓거나 속이 좋지 않을 경우 유근피를 은은한 불에 오래 달여 죽염을 적당히 타 먹으면 그렇게 좋을 수가 없다.
◆ 부스럼과 종기가 난 곳에 잘 듣습니다. ◆ 위하수,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에 효과가 있습니다. ◆ 배가 사르르 아프고 소화가 안될 때 좋습니다. ◆ 소변이 잘 나오지 않을 때 통하게 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 축농증과 중이염에 잘 듣습니다. ◆ 종기, 종창과 곪은 상처에 효과가 있습니다. ◆ 여성의 피부를 곱게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 자궁과 유방 질환에 잘 듣습니다.
동의보감에서
느릅나무는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부드러워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장 위의 사열을 없애 장염에 효과적이며, 부은 것을 가라앉히고 불면증을 낮게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또한 위궤양, 위염, 위하수 등 각종 위장 질환에 잘 듣는다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