씀바귀에 대하여
씀바귀소개
씀바귀(sowthistle)에는 많은 종이 있으나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학명은 Ixeris dentata이고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고채(苦菜) · 씸배나물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25∼50cm이다. 줄기는 가늘고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자르면 쓴맛이 나는 흰 즙이 나온다. 뿌리에 달린 잎은 뭉쳐나며 거꾸로 선 바소 모양이고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다. 잎자루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깊이 패어 들어간 흔적이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2∼3개로서 바소꼴이거나 긴 타원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 4∼9cm이다.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며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5∼7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지름 약 1.5cm이고 줄기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설상화(舌狀花)는 보통 5개씩이지만 많은 것도 있다. 총포는 길이 약 8mm, 지름 2.5∼3mm로서 통 모양이며 털이 없다. 바깥조각은 길이 약 1mm이고 안조각은 줄 모양이며 5∼8개이다. 작은포는 길이 9.5∼12mm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10개의 능선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4∼4.5mm로서 연한 노란색이다. 번식은 종자나 포기나누기로 한다.
쓴맛이 있으나 이른봄에 뿌리와 어린순을 나물로 먹고, 여름에는 쌈채로 쓰면 춘공증과 더위 . 추위를 이긴다. 한국 · 일본 · 중국에 분포한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씀바귀(var. albiflora), 설상화가 8∼10개이며 노란색 꽃이 피는 것을 꽃씀바귀(var. amplifolia)라고 한다. |
|
 |
갯씀바귀, 벋은씀바귀, 좀씀바귀, 벌씀바귀, 선씀바귀, 흰씀바귀, 냇씀바귀, 꽃씀바귀, 노란씀바귀 등이 있다.
 갯씀바귀 |
 벋은씀바귀 |
 좀씀바귀 |
 벌씀바귀 |
 선씀바귀 |
 흰씀바귀 | |
|
 |
성질이 차서 오장의 나쁜 기운과 열기를 없애고 심신을 안정시킨다. 잎을 자를 때 나오는 하얀 유액이 강한 해독작용을 하여 간기능을 회복시키고, 오장을 바로 잡아 면역력을 증가시켜서 잘 늙지 않게 하는 내노의 작용을 한다.
몸과 마음까지 강해지는 씀바귀 쌉싸름한 맛이 특징인 씀바귀의 쓴 맛은 미각을 돋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봄철 입맛이 없을 때 새콤하게 무쳐 먹으면 식용증진에 도움을 준다. 또 씀바귀는 위장을 튼튼하게 해 소화기능을 좋게하는 특징이 있는데 옛 어른 들은 이른 봄에 씀바귀 나물을 먹으면 그해 여름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하셨다. 몸을 강하게 하는 작용을 해서 피로와 스트레스를 이기고 알콜과 니코틴 성분을 1회에 분해할 정도로 해독력이
강하다.
|
씀바귀의 고문헌 자료
씀바귀((Sowthistle)에는 많은 종이 있으나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학명은 Ixeris dentata NAKAI이고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야생초이다. 주성분은 풋내음을 내는 핵세놀과 유액성분인 알리파틱 및 트리테르페노이드로 80여종의 휘발성 풍미 정유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초에는 flavonoids인 synaroside가 혈당강하 및 지질강하 효과를 가지고 있고, Inulin이 골수암에 특효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한방에서는 고채(苦菜)라고 하며, 한적(漢籍)에는 씀바귀의 어린 싹이 겨울을 난다하여 유동(遊冬)이라고 불렀다.
씀바귀의 생리활성 검정과 작용물질의 분석결과,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이 확인되어 현재 약품으로 개발 중이어서, 식품으로서 질병이나 치료와 관련된 자료는 언급할 수 없으나, 회사에서 생산하는 건강보조식품의 효능이 아니고, 구전되어나 문헌에 기록된 씀바귀에 대한 학술적인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로 농업기술연구원이나 강원도 평창군에 있는 산채시험장, 신문방송, 농업관련 싸이트에서 입수한 공개 자료입니다. |
산야초는 앞의 영양분석표에서 본 바와 같이 재배채소에 비해 월등히 높은 영양소들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야초에는 현대인들에게 부족하기 쉬운 각종 비타민과 효소, 무기질, 섬유질 등이 풍부하게 들어 있습니다. 따라서 산야초를 오랫동안 고루 섭취하게 되면 각종 성인병을 예방함은 물론 치료에도 크게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산야초는 무엇보다도 혈액 정화능력이 뛰어납니다. 풍부한 비타민과 미네랄, 섬유소가 장을 비롯한 내장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고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하여 피를 깨끗하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산야초는 대부분 이뇨와 통경 성분을 지니고 있으며 해독, 소종, 강장, 해열, 진통 등 마치 만병통치약과도 같은 효능을 발휘하는데, 이는 산야초가 함유하고 있는 다양한 영양소가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최근 함승시 교수가 이끄는 강원대 식품생명공학부는 산야초의 약리적 효능에 관한 연구발표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나는 각종 산야초가 강한 항암효과가 있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함 교수팀은 국산 산나물 21가지의 즙으로 발암물질인 Trp-p-1, B(a)P, 2-AF 등의 활성억제효과를 실험한 결과 취나물을 비롯한 냉이, 곰취, 씀바귀, 잔대순, 쇠비름, 개미취, 민들레, 질경이 등 10종류는 이들 발암물질의 활성을 80퍼센트 이상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들은 이번 실험을 통해 고들빼기, 방가지똥, 부추, 솔거지, 무릇, 개비름, 원추리, 참나물, 달래, 솜대 등도 상당한 항암효과가 있음을 밝혀냈습니다.
이외에도 각종 임상실험과 체험을 통해 항암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산야초는 바위솔, 번행초, 돌나물, 닭의장풀, 짚신나물, 쇠뜨기, 꿀풀, 뱀딸기, 까마중, 수염가래꽃, 예덕나무, 참빗살나무 등 무려 50여 가지에 이릅니다. (씀바귀와 씀바귀 효소에 대한 연구는 없고 원광대 정동명 교수가 유일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산야초를 대할 때 어떤 산야초가 어떤 병에 효과가 있다는 식으로 산야초를 약의 개념으로만 보아서는 안됩니다. 산야초가 치병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풍부하고 다양한 영양소와 섬유질이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체력을 보강함으로써 자연치유력이 강화된 결과이지, 산야초가 가지고 있는 어떤 특정 성분이 약성을 발휘함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민족생활의학》장두석 저 : 정신세계사)
민간에서는 진정, 해열, 조혈, 건위, 소화불량, 폐렴, 간염, 타박상, 종기 및 식욕촉진 등에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이외에도 민간에서 전해오는 비법을 보면 다음과 같다.
- 씀바귀 전체에는 쓴맛이 있는데 부드러운 눈엽(嫩葉).뿌리 부분과 잎.줄기 어린 순 등을 나물로 먹었다. 또한 생약(生藥)으로 쓰였는데 특히 변통(便痛)에 좋은 효과가 있다
- 봄철에 씀바귀나물을 많이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본초강목).
- 씀바귀는 오장의 사기(邪氣)와 내열을 없애고 심신(心身)을 편하게 하며 악창(惡瘡)을 다스린다
(동의보감).
- 씀바귀의 잎이나 줄기에서 나오는 흰 즙액을 손등의 사마귀에 바르면 사마귀가 스스로 떨어진다
(의학입문).
- 식용, 약용으로 쓰이고 민간약으로는 종창(腫脹), 진정(鎭靜), 최면(催眠), 건위(健胃) 식욕촉진 등에 약으로 쓰인다.
- 씀바귀를 짓찧어 즙을 마시면 얼굴과 눈알의 누른 것을 없애며 그 흰즙을 정종(賽腫)에 바르면 종근이 빠진다. 편도선에 즙과 등심탕(燈心湯)을 혼합하여 마시면 낫는다.
- 봄에 씀바귀나물을 많이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널리 알려져 왔으며 오장의 사기와 내열을 제거하고 심신을 편히 하고 잠을 적게하여 악창을 다스려 준다.
- 악창이 있을 때에는 씀바귀 생을 한 공기에 생강즙 한 숟갈을 타서 하루에 두 번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 쓴 즙을 마시면 얼굴과 눈동자의 누런 기를 없애며 눈을 맑게 하고 이질을 다스리며 치질의 경우에도 사용되었다.
- 장(腸)의 갈함과 열, 속병, 악창 등을 씻어 내며, 오래 먹으면 기한을 견디고 힘이 강해 진다. 또한 경맥을 고르게 하며 곽란 후 위기(胃氣)의 번역을 없앤다.
- 씀바귀 뿌리는 임질을 다스리고 소변을 이롭게 하며 이질에 삶아서 먹는다. 혈액이 고 르지 못한데 씀바귀를 말려 분말로 하여 매복 은주로 먹으면 좋으며 뱀에 물린데 붙이 며, 임질뇨혈에 달여서 먹으면 효과가 좋다. 또한 씀바귀는 눈을 밝게 하고 모든 이질을 다스린다. 치질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씀바귀를 써야한다.
씀바귀의 사용법
쌉싸름한 맛이 특징인 씀바귀의 쓴 맛은 미각을 돋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봄철 입맛이 없을 때 새콤하게 무쳐 먹으면 식용증진에 도움을 준다. 또 씀바귀는 위장을 튼튼하게 해 소화기능을 좋게하는 특징이 있는데 옛 어른 들은 이른 봄에 씀바귀 나물을 먹으면 그해 여름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하셨다. 꼬들배기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하는 씀바귀는 열병, 속병에도 좋고 얼굴과 눈동자의 누런기를 없애는 데도 좋다고 한다. 여름에는 어린 잎을 따다가 상추와 같이 쌈채로 사용하면 속병을 없애고 오장을 편안하게 한다. |
씀바귀 나물(잎) |
 |
주재료 : 씀바귀300g 양 념 : 고추장·식초 2큰술씩, 다진파1큰술, 다진마늘, 설탕, 깨소금 1/2작은술씩, 소금약간
- 씀바귀는 깨끗이 씻어 손질한다.
- 끓는 물에 씀바귀를 데쳐 찬물에 헹군다.(소금물에 데치면 파릇한 색을 낼 수 있음)
- 헹군 씀바귀는 물기를 꼭 짠다.
- 고추장, 설탕, 식초, 소금, 깨소금, 다진파, 다진마늘을 섞어 양념장을 만든다.
- 만든 양념장에 데친 씀바귀를 조물조물 버무려낸다
|
|
잎사귀 생잎 |
 |
여름철에는 어린 잎을 따다가 상추나 쑥갓, 부추와 같이 쌈채로 사용하면 속병을 다스리고 피로를 줄이며 오장을 편안하게 한다. |
|
씀바귀 나물(뿌리) |
 |
주재료 : 씀바귀200g 양 념 : 고추장 3큰술, 설탕 1큰술, 식초 1큰술, 마늘 1작은술, 파(다진것) 1큰술, 깨소금 1작은술
- 씀바귀는 지저분한 것은 칼로 껍질을 긁어 낸후 깨끗이 다듬는다.
- 깨끗이 다듬은 씀바귀는 끓는 물에 살짝 데친다. 그런다음 씀바귀의 쓴 맛을 제거하기 위해 찬물에 오래 담가둔다.
- 고추장 2큰술, 설탕 1큰술, 식초 1큰술, 다진 파, 마늘 약간, 깨소금 약간 등을 섞어 양념장을 만든다.
- 씀바귀의 쓴 맛이 충분히 제거되면 위의 초고추장 소스에 오물조물 무친다.
- 깨끗하게 손질한 봄동과 영양부추는 체에 받혀 물기를 제거한다.
- 양념장에 5번을 맛있게 무쳐낸다.
|
|
[음식남녀] 쓴 나물 조리법 (2000.04.03) |
'산촌' 김연식 사장의 나물 양념은 간결하고 소박하다. 스님 출신인 그는 산사의 검박한 맛을 시중으로 전한다.
◇ 머위, 곰취 (간장 마늘참기름 깨소금) 어린 머위 순을 데쳐서 먹기 좋게 썰고 양념을 넣어 조물 조물 무친다. 곰취도 살작 데쳐 같은 방법으로 무친다.
◇ 씀바귀 (된장 고추가루 참기름 깨소금) 씀바귀는 뿌리 채 잘 다듬어 큰 것은 4쪽 내고 나머지는 적당히 다듬어 데친다. 속까지 간이 배도록 힘주어 무친다.
◇ 땅두릅 (고추장 막걸리 마늘 식초 설탕 깨소금) 땅두릅을 데쳐 먹기 좋게 자르고 너무 굵은 것은 2~4쪽으로 가른다.고추장에 막걸리를 조금 넣고 나머지 양념을 넣되, 너무 짜지지 않게 한다.
◇ 고채<흰씀바귀,쏙새> (두부 달래 된장 참기름 마늘) 실뿌리 같은 것을 먹는다. 끓는 물에 데쳐 먹기 좋게 썰어 놓는다. 두부를 으깨 된장을 간만 될 정도로 아주 조금 넣고 참기름 마늘로 맛을 낸 뒤 달래, 쏙새를 넣어 잘 무친다. | |